데이터에 관련된 포지션이 해가 바뀔 수로 세분화가 되어 새로운 직군들이 나타나고 있습니다. 과거에는 데이터분석가 또는 DBA와 같은 전통적인 포지션만 존재했었는데 컴퓨터 관련 기술의 발전으로 인해 데이터 사이언티스트, 머신러닝 엔지니어, 클라우드 엔지니어 등등 전통적인 직군에 플러스 알파의 역할 혹은 기술을 보유한 신종 직군들이 생겨나기 시작했습니다. 점차 인공지능 기술의 발전으로 인해 앞에 말씀드린 직군에서도 더 세분화가 되고 있습니다. 또한, 데이터 관련 기술의 보급화로 인해 직무와 직무간의 경계도 모호해지고 있는 현실 속에 살아가고 있습니다. 이러한 시류 속에서 저는 ‘요즘에는 데이터 관련 직군에서 xxx가 핫하다던데? xxx가 되어볼까?’ 라며 제 자신을 멋들어진 어딘가에 소속시키기위해 해당 직군 관련 아티클과 커뮤니티 그리고 해외 유명 IT회사의 Job Description을 둘러보면서 제가 부족한 부분에 대해서 catch-up하고 트렌드를 따라가려고 노력했던 것 같습니다. 어느 날 제 자신을 돌아보았던 날이 있습니다. 그런데 문득 ‘내가 정말 좋아서 하고 있는 것이 맞나?’ 하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참 신기한게 그 날 이후로부터 멋들어지다고 생각했던 그 일이 하나도 즐겁지 않았습니다. 그래서 일하는 과정 속에서 즐거웠던 분야들에 대해서 나열해보았고, 그 것들을 바탕으로 다시 한번 여러 회사의 Job Description을 둘러보았습니다. 이게 웬걸! 예전에 흥미롭게 생각했던 회사의 fancy한 포지션들이 눈에 들어오지 않았습니다. 따라서 저는 ‘포지션으로부터 나를 옭아메지 말자!’ 라고 생각을 하게되었고 데이터잡부로서 즐겁게 살아가기 위해 지키고 있는 모습에 대해 소개하고자 합니다.
데이터잡부로 살아가기 위한 3가지 다짐
말을 한 번 뱉기 전까지 여러번 곱씹어보고 해야한다는 말이 있듯이, 한번 뱉은 말은 주워담을 수가 없습니다. 하지만 이미 뱉은 말이라면 지키기 위해 노력을 해야한다고 생각합니다. 따라서 말로 표현을 하게 되었을 때 다른 어떠한 행동보다 책임감이 생기는 것 같습니다. 그러므로 비전을 바탕으로 자기 자신을 소개할 때, ‘긍정적인 마인드’ 와 ‘일에 대한 확신’을 얻을 수 있다고 믿습니다. 하나의 예로 현재 제가 하고 있는 데이터 분석가라는 포지션을 들어보겠습니다. 모바일 기반 환경의 데이터 분석가 포지션에 있다보면 로그 설계라는 아주 계륵같은 작업을 하게 됩니다. 로그는 분명 이건 분석가 입장에서도 정말 필요한 데이터인데 설계하기 참 귀찮고 더 나아가 검수하는 것은 정말 피곤을 불러 일으킵니다. 사실 분석가로서 데이터 분석이라는 본연의 업무에 집중하고 싶어서가 아닐까 싶습니다. 하지만 “저는 프로덕트의 성공을 위해 데이터를 활용하여 제품을 만드는 일을 합니다.” 또는 “의사 결정자 혹은 관련자들이 데이터 기반 의사결정을 하는 것에 도움을 주는 일을 합니다.”와 같이 비전을 바탕으로 소개를 한다면, 로그를 설계하는 일은 기꺼이 해야하는 작업이 되어 긍정적인 마인드로 접근하게 되며 그러한 일을 왜 하는지에 대한 확신이 커집니다.
얻게 되는 점
저는 한 사람의 성장은 개인의 잠재력보다 환경에 대한 요인이 가장 크다고 생각합니다. 인터뷰어로서 면접에 들어가서 많은 분들을 만나다보면, 대체로 내가 겪어보지 못한 환경에 대한 동경 또는 갈망으로 인해 이직을 도전하는 것 같습니다. 갖춰져 있는 환경에 대한 동경 또는 자유롭게 접근할 수 있는 환경에 대한 갈망 등등에 대한 니즈를 들었었습니다. 하지만 완벽한 환경은 없듯이 어느 곳에서든 장단점이 존재합니다. 단점에 너무 매몰되지 않고 주어진 환경에서 최대한 경험을 했을 때, ‘영역의 확장’ 과 ‘뜻 밖의 자산’을 얻을 수 있다고 믿습니다. 제가 전에 있었던 회사에서의 경험을 소개하겠습니다. 저는 전 회사에 서비스 이름과 비즈니스 도메인만 보고 지원하고 합류를 했습니다. 그러나 알고보니 그 회사는 외국계 회사였고, 해외 본사의 데이터 관련 팀과 커뮤니케이션을 상당히 많이 해야했었습니다. 일례로 해외 본사와 협업을 하는 과정에서 User Experience Journey Map을 만들었던 당시, 오피스에 앉아서 데이터를 보는 것을 떠나 사용자 인터뷰도 나가고 앱 푸시 설문도 만들고 등등 유저 리서치(정성)와 데이터 분석(정량)이 혼합된 일을 하면서 이 걸 왜하나 싶었었습니다. 그러나 최근에 이러한 혼합된 분석을 하는 것에 대해 Mixed Method 라는 명칭으로 부른다고 들었고, 많은 회사들이 도입하고 실험하고 있는 것을 알게 되었습니다. 다시 생각해보니 제 입장에서는 생각지도 못한 영역의 확장을 통해 상당히 뜻 밖의 자산을 얻었던 것 같습니다. 그러므로 주어진 환경 안에서 다양한 도전과 경험을 바탕으로 더 큰 성장이 이루어진다고 믿습니다.
얻게 되는 점
애자일을 바탕으로 업무를 하는 곳에서는 Retrospective(회고)라는 것을 합니다. 이에 대한 목적은 자신이 지난 스프린트 혹은 특정 주기동안 했었던 일을 돌아보면서 잘했던 부분, 개선해야하는 부분에 대해 생각하고 공유하여 프로젝트가 더 나은 방향으로 가기 위함에 있습니다. 그렇다면 더 나은 내 자신이 되기 위해 주기적으로 스스로 회고해야한다고 생각합니다. 주기적인 회고를 바탕으로 ‘자기 객관화’를 할 수 있게되며, ‘아이덴티티 확립’을 이룰 수 있다고 믿습니다. 알파고 키즈로서 인생의 목표를 빅데이터 혹은 인공지능 관련 일하는 사람이 되어야지라고 설정한 후 일을 시작하고 근 6년간은 정말 앞만 보고 달렸었던 것 같습니다. 그래서 회사와 데이터 사이언스 계열의 대학원을 병행했었습니다. 그러다가 검색 추천팀이 생기고 회사에서 학사 및 석사 전공을 활용할 기회를 주어 그 팀의 ML Model Engineer 라는 포지션으로 변경되면서 설정했던 방향대로 잘 나아가는 것 같아 정말 즐겁게 일했었습니다. 그러나 앞서 말했듯, 문득 ‘정말 이 일을 좋아하는가’라는 생각이 들었고, 잘 달리던 차를 멈추고 시동을 꺼봤습니다. 그리고 멈춰서 데이터분석가로 처음 시작했던 과거로 돌아가서 제가 해왔던 모든 과정에 대해서 생각해보며, 좋아하고 잘하는 일에 대해서 정리해보았습니다. ‘데이터 안에서의 찾은 의미를 바탕으로 제품에 기여하는 모습’ 그리고 ‘동료들이 데이터를 쉽게 활용할 수 있도록 돕는 모습’의 저로 살아가고 싶다는 생각이 들었고 새로운 도전을 할 수 있는 용기를 얻을 수 있었습니다.
얻게 되는 점
머리 속에서만 생각하고 실천하려했던 다짐들을 글로 풀어내니 보다 더 데이터잡부로서의 책임감이 생기는 것 같습니다. 첫번째 PAP 블로그 글은 ‘동료들이 데이터를 쉽게 활용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가는 과정에 대한 Intro 라고 생각해주시면 좋겠습니다. 그러한 관점에서 ‘분석 거버넌스’라는 부분에 관심이 많으며, 앞으로 써나가며 소개시켜드릴 Topic으로 생각하고 있습니다.
감사합니다.